1. 서론
분산 시스템에 대한 정의
- 네트워크 상에서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세지 파싱(Passing)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시스템.
- 둘 이상의 독립된 컴퓨터들이 모여있는 시스템은 처리를 위해 상호 협동을 하는데, 상호 협동에서 즉 교환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동기(Synchronous) 또는 비동기(Asynchronous) 두 가지로 나뉜다.
- 그렇게 나뉘어져 있는 둘 이상 독립된 컴퓨터들은 사용자(User)에게 하나의 컴퓨터(Single Computer)로 보이게 된다.
- 분산 시스템은 자발적으로 모인 구성이며, 그 방법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, 소프트웨어의 디자인으로 구현되어 있다.
*귀결
(1) Concurrency (동시성)
- 자원의 공유를 통해 사용자는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.
- 메세지 파싱을 통해 동기화와 정합을 가능하게 한다.
- Dead lock
(2) No global clock (통일된 시간 부재)
- 공유된 시간 개념에 의해 정적 정합은 의존
- 일치성과 각각의 내장된 네트워크 동기화 시간에 의해 컴퓨터는 제한된다.
- 모든 커뮤니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한 메세지 전송으로 가능하다.
(3) Independent failures (독립된 실패 또는 오류)
- 각각의 컴퓨터는 전체에 대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분산된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.
** 남은 내용에 대해서는 추후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.
'대학원(~2019.07) > 분산처리(소프트웨어공학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3 - Time and Global states[기간과 가상시간(2/2)] (0) | 2017.04.11 |
---|---|
Chapter 3 - Time and Global States[시간과 가상시간(1/2)] (0) | 2017.03.29 |
Chapter 2 - System Models [시스템 모델(2/2)] (0) | 2017.03.28 |
Chapter 2 - System Models [시스템 모델 (1/2)] (0) | 2017.03.23 |
Chapter 1 - Characterization of Distributed System [분산 시스템의 성격 (2/2)] (0) | 2017.03.16 |